드레스덴 S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레스덴 S반은 드레스덴과 그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광역 철도 시스템이다. 1974년 운임 시스템 도입을 시작으로, 1992년 "S반" 명칭이 공식 사용되었으며, 1998년 상 엘베 운송 연합에 통합되었다. 2007년부터 2층 객차를 투입하여 노선을 확장했고, 2021년에는 S8 노선이 신설되었다. S1, S2, S3, S8의 4개 노선으로 구성되며, 주요 역으로는 드레스덴 중앙역, 드레스덴 노이슈타트역 등이 있다. 전기 기관차 견인 2층 객차를 사용하며, 미래에는 노선 확장 및 신규 역 건설 계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작센주의 철도 - 중부독일 S반
중부독일 S반은 독일 중부 할레와 라이프치히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광역 철도 시스템으로, 2004년 통합 후 2013년 노선망 재편을 거쳐 현재 11개 노선이 운영되며 인근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이다. - 197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197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상파울루 지하철
상파울루 지하철은 1974년 개통 이후 6개 노선이 운영 중이며, 2019년 평일 평균 53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는 상파울루 시민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도시 교통망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드레스덴 S반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드레스덴 및 주변 지역 |
교통 유형 | 통근 열차(다른 S반 노선과 차이점이 있음) |
노선 수 | 4 |
역 수 | 48 |
개업 | 1974년 |
운영 | DB 레기오 쥐트오스트 |
연간 승객 수 | 1500만 명 (2017년) |
시스템 길이 | 128 km |
궤간 | 표준궤 |
전력 | 교류 15 kV/16.7 Hz 가공 전차선 |
추가 정보 |
2. 역사
S반의 운임 시스템은 1974년 9월 29일에 드레스덴 주변의 통근 열차 노선망에 도입되었다. 1992년 5월 31일까지 이 노선망은 도시·근교 열차 노선(Stadt- und Vorortverkehr, SV-Verkehr)으로 불렸지만, 그날 이후 "S반"이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98년 5월 24일, S반은 상 엘베 운송 연합(Verkehrsverbund Oberelbe, VVO)의 출범과 함께 그 운임 시스템에 통합되었다.
드레스덴 S반은 전기 기관차가 견인하는 2층 객차 푸시풀 운행 방식을 사용한다. 모든 열차에는 1등석과 2등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S-Bahn Dresden"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다른 S반 노선과 달리 승객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져야 하는 특성 때문에 2층 객차를 사용한다.
2007년 7월부터 13량의 2층 제어 객차 및 40량의 2층 중간 객차가 봄바디어로부터 공급되어 단계적으로 S반 노선에 투입되었다.[24] 같은 해 12월 9일에 RB30 계통은 S3 노선으로 S30 계통으로 개칭되어, S반 노선망은 프라이베르크까지 확장되었다.
2010년 12월에 드레스덴 - 프라이베르크 노선은 S3에 통합되었다.
2021년 12월 12일에는 기존의 RB34 계통이 S8 계통으로 편입되어[25] 노선망은 카멘츠까지 확장되었다.
3. 노선
2007년 7월 16일부터 봄바디어 괴를리츠 공장에서 제작된 2층 제어차 13량과 객차 40량(총 53량)이 도입되어 기존 객차를 대체했다. 이 신형 객차는 최대 160km/h까지 운행 가능하며, 총 7200만유로의 예산이 투입되었다.[28][29] 같은 날 드레스덴 알트슈타트 지역에 새로운 기지가 문을 열었다.[30] 2007년 12월 시간표 개정 전까지 모든 차량이 도입 완료되었다.[31]
현재 사용 중인 기관차는 143형, 146.0형 및 146.2형이다. 182형 기관차는 2015년 12월 시간표 개정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다. 2018년 12월 시간표 개정 기준으로 2003년 제작된 2층 객차 20량과 2007년 제작된 2층 객차 53량이 운행 중이다.
2019년, 오버엘베 교통조합은 봄바디어 트윈덱스 바리오 전동차 15편성을 주문할 계획을 발표했다.[32] S1, S2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작센 주의 자금 지원 문제로 인해[32] VVO나 DB 레기오에서는 별도 구매를 진행하지 않았고, 현재 운송 계약이 끝날 때까지는 기관차 견인 편성을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33]
2021년 12월 12일부터 VVO 디젤 노선 운영 계약 갱신에 따라 과거 RB 34 (드레스덴 중앙역-카멘츠) 노선이 S8 노선으로 편입되었으며, 642형 디젤 동차가 사용된다.[34]
드레스덴 S반 열차는 연간 3100000e6km를 운행하며,[6] 다음 노선들로 구성되어 있다.노선 경로 역 수 길이 소요 시간 평균 속도 배차 간격 기관차 마이센 트리비슈탈 – 코스비히 – 라데보일 오스트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 – 드레스덴 중앙역 – 하이데나우 – 피르나 – 바트 잔다우 – 쇤나 33 77km 95 분 48km/h 30분 (마이센 트리비슈탈 – 바트 잔다우)
60분 (바트 잔다우 – 쇤나)243형,
146.0형드레스덴 공항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 – 드레스덴 중앙역 (– 하이데나우 – 피르나) 17 32.1km 46분 42km/h 30분 (드레스덴 중앙역 – 피르나, 일요일 제외) 243형 드레스덴 중앙역 – 프라이탈-하인스베르크 – 타란트 (– 클링겐베르크-콜름니츠 – 프라이베르크) 12 40.1km 43분 56km/h 30분 (드레스덴 중앙역 – 타란트)
60분 (타란트 – 프라이베르크, 평일 피크 시간대만)243형 드레스덴 중앙역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 – 라데베르크 – 풀스니츠 – 카멘츠 13 48.4km 48분 60km/h 30분 (평일 피크 시간대만) / 60분 지멘스 데시로 클래식
3. 1. S1 노선
S반 1호선은 드레스덴과 그 주변을 운행하는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S반 노선이다. 엘베 강 상류 지역의 모든 주요 지점을 드레스덴 주도와 연결한다. 통근 교통, 레크리에이션 및 관광 여행이 여전히 중요하며, 작센 스위스의 몇몇 외딴 지역과 하이킹 지역은 버스나 자가용보다 S반으로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쇤나에서 출발하여 엘베 강을 따라 엘베 계곡 철도를 통해 엘베 사암 산맥, 바트 잔다우를 지나 쾨니히슈타인 요새를 거쳐 피르나까지 운행한다. 거기서 엘베 강 바로 옆을 벗어나 하이데나우와 드레스덴 남동부를 지나 거의 곧장 드레스덴 중앙역으로 향한다. 시내를 통과하는 곡선을 따라 엘베 강을 건너 급커브를 돈 후 드레스덴-노이슈타트역을 지나 라이프치히–드레스덴 철도 옆으로 운행한다. 라데보일과 코스비히를 통과하며, 여기서 보르스도르프–코스비히 철도를 통해 마이센으로 분기한다.
S1 열차는 기본적으로 4량의 2층 객차로 구성되어 있다. 대규모 행사와 부활절과 오순절 사이에는 5량의 2층 객차로 운행된다.
2007년 7월 16일, 16대의 새로 조달된 2층 객차가 S1에 처음 인도되었다. 열차에는 에어컨, 전자식 승객 정보 시스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실내 조명, 1등석 좌석의 소켓이 장착되어 있다. 27.3m 제어 차량에는 82석, 26.8m 중간 차량에는 각각 126석이 있다. 2007년 12월 9일까지 S1 전체에 새로운 객차가 장착되었다.[8][9]
2010/2011 시간표 변경인 2010년 12월 12일부터 S1 열차는 145형 기관차로 견인되었다. 이를 통해 전체 노선에서 4분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다. 기관차에 새로운 2층 객차에 대한 충분한 도어 제어 기능이 없기 때문에 각 플랫폼에서 열차에 승무원이 배치되었다. 2011년 말부터 지멘스 ES64U2 (182형) 기관차가 145형 기관차를 대체했다. 182형 기관차는 DB 쉔커에서 DB 레지오로 인수되었으며 지역 교통 패키지(열차 목적지 표시 및 측면 선택적 도어 제어 포함)가 장착되었다.
2015/2016 시간표 변경인 2015년 12월 13일에는 146.0형 기관차로 다시 변경되었다.
노선 | 경로 | 역 | 길이 | 소요 시간 | 평균 속도 | 배차 간격 |
---|---|---|---|---|---|---|
마이센 트리비슈탈 – 코스비히 – 라데보일 오스트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 – 드레스덴 중앙역 – 하이데나우 – 피르나 – 바트 잔다우 – 쇤나 | 33 | 77km | 95분 | 48km/h | 30분 (마이센 트리비슈탈 – 바트 잔다우) 60분 (바트 잔다우 – 쇤나) |
3. 2. S2 노선
"플루크하펜-S반"("공항 S반")은 드레스덴 공항과 드레스덴 북부의 마이크로 전자 회사를 피르나, 하이데나우, 드레스덴과 연결한다. S2 노선은 드레스덴-노이슈타트와 피르나/하이데나우(평일) 또는 드레스덴 중앙역(주말 및 공휴일) 사이에서 S1 노선과 같은 경로를 따라 운행하므로, 이 구간에서는 10~20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된다. S2 열차는 S1 및 S3 열차와 달리 공항역까지의 터널에서 정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 제동 우회로가 장착된 2층 객차 2량으로 구성된다.[28][29]

드레스덴-클로체와 공항 사이의 3km 철도 노선이 재건 및 연장되어 공항과 연결되었다. S2 노선이 1998년 5월 22일에 개통되기 전에 이미 레기오날반 열차가 드레스덴 그렌츠 거리에 운행되어 EADS EFW 및 ZMDI와 연결되었다. S2 노선은 괴를리츠-드레스덴 철도에서 클로체역 바로 북쪽에서 분기된다. 공항으로 가는 열차는 비전철 노선을 통해 괴를리츠로 간다. 드레스덴-클로체–드레스덴 공항 철도는 단선으로 운행되며 드레스덴 공항 터미널 아래의 복선 지하역에서 끝난다.
1998년 중반에 새로운 노선 건설 및 업그레이드가 시작되었다.[12] 공항으로의 운행 시작은 새로운 공항 터미널의 개장과 일치했으며,[2] 2001년 3월 25일에 36대의 디젤 동차 열차가 30분 간격으로 매일 운행되었다. 운행 첫 5개월 동안 평균 이용률은 32%를 유지했으며, 하루 총 1,400명의 승객이 이용했다.[10] 2001년 말까지 이 노선에서 약 81만 명의 승객이 집계되었다.[11]
드레스덴-노이슈타트와 공항 사이의 14km 구간의 전철화는 2002년 3월 초에 시작되었다.[12] 2002년에는 683,000명의 여행객이 이 노선을 이용했다.[2]
2004년 말까지 운행에는 총 8대의 새로 조달된 2층 차량이 포함되었다. 여기에는 에어컨, 배리어 프리 화장실 및 1등석의 전기 소켓 등이 포함된다.[8] 이 노선은 2004년 12월 시간표 변경에 따라 피르나까지 연장되었다.[2] 일부 1등석 좌석은 2등석 좌석으로 변경되었다. 2007년 12월 9일부터 S2 열차는 수요 증가로 인해 일반적으로 2층 객차 3량으로 운행되었다. 2009년부터는 수요에 따라 2~3량의 객차가 사용되었지만, 2011년부터는 2층 객차 2량으로만 이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다.
2005년에는 약 200만 명, 2010년에는 280만 명의 승객이 이 노선을 이용한 것으로 집계되었다.[2]
1999년 5월 30일 시간표 변경까지 S2 노선은 드레스덴 중앙역–라데베르크–아른스도르프(b 드레스덴) 노선에서 운행되었다. 이 S2 열차는 아른스도르프(b 드레스덴) 객차 열차에서 방향을 바꿔 카멘츠, 괴를리츠 또는 치타우로 가는 레기오날반 열차로 운행을 계속했다. 당시에는 디젤 기관차가 견인하는 푸시풀 열차로 운행되는 유일한 S반 노선이었다.
계통 | 운행 경로 | 거리 | 운행 간격 | 관련 철도 노선 |
---|---|---|---|---|
드레스덴 공항 - 크로체 - 노이슈타트 - 드레스덴 중앙역( - 하이데나우 - 피르나) | 32.1km | 30분 | 드레스덴 공항선, 괴를리츠-드레스덴선, 데친-드레스덴선 |
3. 3. S3 노선
S 3호선은 드레스덴 중앙역에서 출발하여 켐니츠 방향으로 가는 드레스덴-베르다우 철도를 따라 운행한다. 이 노선은 플라우엔과 프라이탈 사이의 바이세리츠강의 깊은 계곡인 "플라우엔셔 그룬트"(Plauenscher Grund)를 통과하며, 프라이탈에서는 빌데 바이세리츠 계곡을 따라 타란트까지 이어진다. 2002년 8월 홍수로 인해 노선이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2003년 말 복구되어 다시 운행을 시작, 하루 평균 약 2,300명의 승객이 이용하고 있다.[13]
드레스덴 내에서 S 3호선은 중앙역 다음으로 드레스덴-플라우엔역에 정차한다. 프라이탈 지역에서는 인구 밀집 지역을 상당 부분 운행하는데, 프라이탈시는 1921년 포차펠, 도이벤, 뢴의 세 마을이 합쳐져 설립되었고 1964년 하인스베르크가 추가로 합병되었다. 프라이탈-도이벤역 옆에는 10개의 지역 버스 노선과 6개의 시내 버스 노선이 연결된 버스 터미널이 있어, 철도 노선은 도시 교통의 중심축이자 프라이탈 버스 노선의 주요 축 역할을 한다. S3 노선에는 주로 2층 객차 2량을 연결한 열차가 사용된다.
1995년 5월 시간표 변경 이전에는 S 3호선이 S 5호선으로 운행되었다. 2007년 12월 9일부터 2010년 12월 11일 사이에는 S 3호선의 보조 노선으로 S 30호선이 운행되었으며, 2010년 12월 12일 시간표 변경 이후 드레스덴 중앙역과 프라이베르크 사이의 전체 노선이 S 3호선으로 통합되었다. S3 노선은 일반적으로 타란트에서 운행이 종료되지만, 평일 오전 피크 시간대에는 프라이베르크까지, 오후 피크 시간대에는 프라이베르크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에들레 크로네, 클링겐베르크-콜름니츠, 니더보브리츠슈, 물덴휘텐, 프라이베르크(작센) 역을 추가로 운행한다. S 3 노선은 상부 엘베 교통 연합 지역 외부를 운행하는 유일한 드레스덴 S반 노선으로, 니더보브리츠슈와 프라이베르크 사이 구간에는 ''베어케어스베르분트 미텔작센'' (작센 중부 교통 연합)의 요금이 적용된다.
2012년 초부터 145급 기관차가 이 노선을 견인하고 있다. 2012년 10월 말부터는 봄바디어 탈렌트 2 열차 세트가 직원 훈련에 투입되었으며, 2013년 1월 1일부터 모든 열차가 143급으로 견인될 예정이었다.
노선 | 경로 | 역 | 길이 | 소요 시간 | 평균 속도 | 배차 간격 |
---|---|---|---|---|---|---|
S 3 | 드레스덴 중앙역 – 프라이탈-하인스베르크 – 타란트 (– 클링겐베르크-콜름니츠 – 프라이베르크) | 12 | 40.1km | 43분 | 56km/h | 30분 (드레스덴 중앙역 – 타란트) 60분 (타란트 – 프라이베르크, 평일 피크 시간대만) |
3. 4. S8 노선
S8de 노선은 드레스덴 중앙역에서 출발하여 드레스덴 노이슈타트를 거쳐 카멘츠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2021년 12월 12일부터 과거 RB 34 (드레스덴 중앙역-카멘츠) 노선이 S 8로 편입되었으며, 642형 디젤 동차를 사용한다.[34] 드레스덴 북부의 디젤 동력 S반 노선으로, 2021년 12월 12일 광범위한 개조와 확장을 거친 이전의 RB33 노선에서 파생되었다.노선 | 경로 | 역 | 길이 | 소요 시간 | 평균 속도 | 배차 간격 | 기관차 |
---|---|---|---|---|---|---|---|
드레스덴 중앙역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 – 라데베르크 – 풀스니츠 – 카멘츠 | 13 | 48.4 km | 48분 | 60 km/h | 30분 (평일 피크 시간대만) / 60분 | 지멘스 데시로 클래식 |
계통 | 운행 경로 | 거리 | 운행 간격 | 관련 철도 노선 | 비고 |
---|---|---|---|---|---|
카멘츠 - 풀스니츠 - 그로스로엘스도르프 - 라데베르크 - 랑에브뤼크 - 크로체 - 노이슈타트 - 드레스덴 중앙역 | 48.4 km | 30분/60분 | 괴를리츠 - 드레스덴선, 카멘츠 - 피르나선 | 비전철화 구간 |
4. 차량
도이체 반의 다른 S반 열차처럼 "S-Bahn Dresden" 표기가 된 전기 기관차 견인 2층 객차의 푸시풀 운행을 사용한다. 모든 열차에는 1등석과 2등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 S반 노선과는 다르게 2층 열차를 사용하고 있어 승객의 빠른 전환이 어렵다.
2007년 7월 16일부터 봄바디어 괴를리츠 공장에서 2층 제어차 13량, 객차 40량, 총 53량을 납품받아서 과거 2층 객차를 대체했다. 신형 객차는 최대 160km까지 운행할 수 있으며, 예산은 7200만유로이다.[28][29] 같은 날 드레스덴 알트슈타트 지역에 새로운 기지가 영업을 시작했다.[30] 2007년 12월 시간표 개정 이전에 모든 차량이 반입 완료되었다.[31]
사용 중인 기관차는 143형, 146.0형 및 146.2형이다. 182형 기관차 사용은 2015년 12월 시간표 개정부터 중단되었다. 2018년 12월 시간표 개정 기준 2003년 제작된 2층 객차 20량, 2007년 제작된 2층 객차 53량이 사용 중이다.
2019년에는 오버엘베 교통조합에서 봄바디어 트윈덱스 바리오 전동차 15편성을 주문할 계획을 발표했다.[32] S1, S2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며, 반입 이후에는 143형 기관차 운행이 중단될 예정이다. 2027년 12월까지 계약된 DB 레기오, 오버엘베 교통조합만의 예산으로는 자금이 부족해서 작센주의 투자를 기대하고 있으나,[32] 작센주의 경제노동교통부에서는 자금 지원이 공공 조달 규정에 위반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작센주의 투자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는 예산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VVO나 DB 레기오에서는 별도 구매를 진행하지 않았고, 현재 운송 계약이 끝날 때까지는 계속 기관차 견인 편성을 사용할 예정이다.[33]
2021년 12월 12일부터 VVO 디젤 노선(VVO-Dieselnetz) 운영 계약이 갱신되었다. 이에 따라서 과거의 RB 34 드레스덴 중앙역-카멘츠 노선이 S 8로 편입되었으며, 642형 디젤 동차를 사용한다.[34]
5. 역
드레스덴 S반의 주요 역은 다음과 같다.
역명 | 설명 |
---|---|
드레스덴 중앙역 | 도심 접근성이 좋으며, 장거리 및 지역 노선과 트램 및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
드레스덴 프라이베르거 거리 | 도심 및 드레스덴 세계 무역 센터 접근성이 좋다. |
드레스덴 미테역 | 메세 드레스덴(드레스덴 전시장) 및 드레스덴 국제 컨벤션 센터 접근성이 좋으며, 트램 및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역 | 장거리 및 지역 노선, 트램 및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
이 역들은 드레스덴 시내 주요 지점과 다른 교통 수단과의 연결성을 제공한다.
5. 1. 드레스덴 시내 주요 역
- 드레스덴 중앙역(Dresden Hauptbahnhof)은 도심 접근성이 좋으며, 장거리 및 지역 노선과 트램 및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 드레스덴 프라이베르거 거리(Dresden Freiberger Straße)는 도심 및 드레스덴 세계 무역 센터 접근성이 좋다.
- 드레스덴 미테역(Dresden Mitte station)은 메세 드레스덴(드레스덴 전시장) 및 드레스덴 국제 컨벤션 센터 접근성이 좋으며, 트램 및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역(Dresden-Neustadt station)은 장거리 및 지역 노선, 트램 및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6. 미래
2019년 오버엘베 교통조합은 봄바디어 트윈덱스 바리오 전동차 15편성을 주문할 계획을 발표했다.[32] S1, S2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며, 반입 이후에는 143형 기관차 운행이 중단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27년 12월까지 계약된 DB 레기오, 오버엘베 교통조합만의 예산으로는 자금이 부족했고, 작센주의 투자를 기대했으나, 작센주의 경제노동교통부에서 자금 지원이 공공 조달 규정에 위반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32] 자금 부족으로 VVO나 DB 레기오에서는 별도 구매를 진행하지 않았고, 현재 운송 계약이 끝날 때까지는 계속 기관차 견인 편성을 사용할 예정이다.[33]
2021년 12월 12일부터는 VVO 디젤 노선(VVO-Dieselnetz) 운영 계약 갱신에 따라 과거 RB 34 드레스덴 중앙역-카멘츠 노선이 S 8로 편입되었으며, 642형 디젤 동차를 사용한다.[34]
드레스덴 프라이베르거 슈트라세, 드레스덴 공항, 마이센 알트슈타트 및 드레스덴 비쇼프스플라츠의 신설된 S반역 외에도, 드레스덴시의 교통 개발 컨셉 2025에는 쾨니히스브뤼커 슈트라세와 슈타우펜베르크알레의 교차로에 또 다른 S반역(S 2)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기존 슈트렐렌역을 S반, 트램 및 버스 간의 중앙 환승역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하우프트반호프와 코스비히 사이에 또 다른 S반 노선을 신설하는 방안도 제안되었다. 이는 기존 지역 교통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목표는 프리드리히슈타트와 코타를 경유하여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것이다. 코타에는 버스와 트램 연결을 갖춘 새로운 중앙역이 건설될 예정이다.[16]
참조
[1]
웹사이트
15 Millionen Fahrgäste – S-Bahn verzeichnet Rekord in Dresden
http://www.dnn.de/Dr[...]
2018-03-27
[2]
간행물
10 Jahre mit dem Zug zum Flug: VVO, S-Bahn Dresden und Flughafen Dresden International feiern Jubiläum
http://www.deutscheb[...]
Deutsche Bahn
2011-03-28
[3]
뉴스
Bahn kauft für Sachsen 53 neue Doppeldecker von Bombardier
http://www.lr-online[...]
2016-12-13
[4]
웹사이트
Bombardier liefert 53 Doppeldecker an Deutsche Bahn
http://www.aktienche[...]
Aktien Check
2016-12-13
[5]
간행물
Nahverkehrsangebote zum Fahrplanwechsel in Sachsen
Deutsche Bahn AG
2007-11-19
[6]
간행물
Dresdner S-Bahnen: VVO erteilt DB Regio Zuschlag
http://vvo-online.de[...]
2016-12-14
[7]
논문
Answer by the Federal Government to a minor question by the MPs Horst Friedrich (Bayreuth), Patrick Döring, Joachim Günther (Plauen), other MPs and the FDP group, printed matter: 16/8797: Transeuropäisches Eisenbahn-Verkehrsnetz – Projekt Nummer 22 (Athen–Nürnberg/Dresden)
http://dip21.bundest[...]
Deutschen Bundestag
2016-12-15
[8]
서적
'Einfach Mehr im Nahverkehr. Meine S-Bahn Dresden
DB Regio AG, Verkehrsbetrieb Südostsachsen
2007-07-01
[9]
뉴스
Großer Bahnhof auf dem Bahnhof
2007-07-17
[10]
간행물
Aktuelles in Kürze
[11]
간행물
810 000 Fahrgäste in Dresdner Flughafen-S-Bahn
[12]
간행물
S-Bahn zum Flughafen Dresden wird elektrifiziert
[13]
간행물
Sachsen: Fahrgastzahlen nach Wiederinbetriebnahme
[14]
간행물
Streckenabschnitt zwischen Meißen und Meißen-Triebischtal einschließlich des neuen Haltepunktes Meißen Altstadt in Betrieb genommen
https://www.vvo-onli[...]
Verkehrsverbund Oberelbe GmbH
2016-12-18
[15]
간행물
D-Dresden: Bauarbeiten für Eisenbahnlinien
http://ted.europa.eu[...]
2016-12-18
[16]
뉴스
Neue Pläne für Dresdens S-Bahn-Netz
http://www.sz-online[...]
2016-12-18
[17]
간행물
Mehr S-Bahnen im Elbtal – TU Dresden erstellt Betriebskonzept für den VVO
http://www.bahnaktue[...]
Verkehrsverbund Oberelbe
2016-12-18
[18]
간행물
Dresdner S-Bahn feiert 40-jährige Erfolgsgeschichte und blickt auf eine vielversprechende Zukunft
DB Mobility Logistics AG
2013-11-15
[19]
뉴스
So beliebt ist die S-Bahn
2016-06-13
[20]
웹사이트
Dresden: Ausschreibung von SPNV-Leistungen
http://www.eurailpre[...]
Eurailpress.de
2016-12-18
[21]
간행물
VVO-Kundengarantien versprechen mehr Pünktlichkeit und Sauberkeit
http://vvo-online.de[...]
2016-12-18
[22]
간행물
Zuschlag für Leistungen im Zugverkehr in Richtung Kamenz sowie in der Sächsischen Schweiz wird nicht erteilt
http://vvo-online.de[...]
Verkehrsverbund Oberelbe
2016-12-18
[23]
간행물
Dieselnetz im VVO geht an Potsdamer Unternehmen EGP
http://www.vvo-onlin[...]
Verkehrsverbund Oberelbe
2016-12-18
[24]
뉴스
Bahn kauft für Sachsen 53 neue Doppeldecker von Bombardier
http://www.lr-online[...]
2007-04-14
[25]
웹사이트
Neue S-Bahn S 8 zwischen Dresden und Kamenz
https://www.vvo-onli[...]
Verkehrsverbund Oberelbe GmbH
2021-12-12
[26]
웹인용
15 Millionen Fahrgäste – S-Bahn verzeichnet Rekord in Dresden
http://www.dnn.de/Dr[...]
2018-03-27
[27]
웹인용
"10 Jahre mit dem Zug zum Flug: VVO, S-Bahn Dresden und Flughafen Dresden International feiern Jubiläum"
http://www.deutscheb[...]
2023-03-12
[28]
웹인용
"Bahn kauft für Sachsen 53 neue Doppeldecker von Bombardier"
http://www.lr-online[...]
2023-03-12
[29]
웹인용
Bombardier liefert 53 Doppeldecker an Deutsche Bahn
http://www.aktienche[...]
2007-04-13
[30]
문서
Einfach Mehr im Nahverkehr. Meine S-Bahn Dresden.
DB Regio AG, Verkehrsbetrieb Südostsachsen
2007-07-01
[31]
보도자료
Nahverkehrsangebote zum Fahrplanwechsel in Sachsen
2007-11-19
[32]
웹인용
VVO beschließt neuen Nahverkehrsplan
https://www.vvo-onli[...]
2021-09-15
[33]
웹인용
Ein Wunschtraum zerplatzt wie eine Seifenblase - Kein "Twindexx" auf der SBahn Dresden
https://www.meidresd[...]
2022-12-19
[34]
웹인용
Neue S-Bahn S 8 zwischen Dresden und Kamenz
https://www.vvo-onli[...]
2021-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